[Web] Spring Basic 4 - DI, Spring Bean 과 의존관계
1. DI 란? - 생성자에 @Autowired 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 이렇게 객체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을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 DI에는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다. 의존관계가 실행중에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Question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nswer 1. 순환 참조 방지 필드 주입이나 수정자 주입으로 DI할 경우 참조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메소드를 실행하기 전까지는 에러가 나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생성자 주입을 통하여 DI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에서 순..
Web 개발
2021. 12. 11. 23:1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react
- 우선순위큐
- S2
- 그리디
- 코딩새내기
- 다익스트라
- laugh4mile
- g4
- 알고리즘
- 백준
- 문자열
- 객체지향
- SWEA
- 현꾸라지
- Spring
- react native
- Spring Boot
- G5
- map
- DFS
- 리액트 네이티브
- BFS
- java
- PriorityQueue
- S3
- 리액트
- 구현
- 자바
- 시뮬레이션
- 백트래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